트럼프 대통령의 대중국 고율 관세 정책에도 불구하고, 스마트폰, 노트북, 메모리 칩 등 전자제품이 면제 대상이 될 것이라고 미 행정부가 새롭게 안내했다. 이번 조치는 전자제품 가격의 급등에 대한 소비자들의 우려를 어느 정도 완화시킬 수 있는 또 다른 후퇴로 해석된다.
이번 후퇴 조치는 11일(금) 늦은 밤 미 세관국경보호국(CBP)의 공지에서 발표됐다.
미 세관국경보호국이 이날 밤 발표한 지침에 따르면, 반도체 제조 장비, 평면 TV, 태블릿, 데스크톱 컴퓨터 등도 트럼프 대통령의 125% 대중국 관세 및 전 세계 국가에 적용되는 기본 10% 관세에서 면제된다.
이번 트럼프 행정부의 조치는 애플, 삼성, HP, 델, 마이크로소프트 등 미국 외 국가에서 전자 부품을 생산하는 기업들에게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금요일 밤 에어포스원 기내에서 기자들과의 대화 중 관세 예외 가능성을 시사했다. “몇 가지는 명백한 이유로 예외가 있을 수 있겠지만, 10%는 최소치라고 볼 수 있다”고 그는 말했다.
앞서 행정부 관계자들은 이번 대중국 관세 조치가 미국 내 전자제품 생산을 장려할 것이라고 밝혔었다.
백악관은 이번 주 “상호 관세”를 옹호하며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이 미국에서 아이폰을 생산할 인력과 자원을 갖추고 있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애널리스트들은 미국산 아이폰은 최악의 경우 불가능하고, 기껏해야 매우 비싸다고 말한다. 한 애널리스트는 임금만 따져도 미국산 아이폰 가격이 현재보다 25% 더 비쌀 수 있다고 추산했다. 또 다른 애널리스트는 아이폰 가격을 3,500달러로 예상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