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위협 재개와 중국 규제 강화 가능성으로 인해 미 주식 시장이 25일(화)전반적으로 하락했다. 이로 인해 시장 낙관론과 금리 인하 가능성이 위축되면서 투자자들의 불안감이 커졌다. 또한, 2월 소비자 신뢰지수가 4년 만에 가장 큰 월간 하락을 기록하며 인플레이션 기대치 상승과 경기 침체 우려가 고조되고 있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IXIC)는 전날 기술주 매도세에 이어 약 1.6% 하락했다. 벤치마크 S&P 500(^GSPC)은 약 0.7% 하락했으며,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DJI)는 약 0.1% 하락했다.
화요일 초반 시장에서 가장 큰 움직임은 암호화폐 시장에서 나타났다. 비트코인(BTC-USD) 가격은 11월 이후 처음으로 90,000달러 아래로 떨어졌다. 비트코인은 이른 아침 시간대에 86,000달러 근처까지 하락하며 11월 15일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세계 두 번째로 큰 암호화폐인 이더리움(ETH-USD)도 10% 이상 하락하며 2,400달러 아래로 떨어졌다. 코인베이스(COIN)와 스트래티지(MSTR) 등 암호화폐 관련 주식도 화요일 초반 약세를 보였다.
트럼프 관세 정책 불확실성, 시장에 부정적 영향
트럼프 대통령이 무역 개혁이 아직 끝나지 않았다는 신호를 보내며 성장 전망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투자자들은 멕시코와 캐나다에 대한 관세가 다음 주에 시행될 것이라는 트럼프의 간단한 발언을 주시하고 있다. 벤치마크 10년물 국채 수익률(^TNX)은 올해 최저 수준인 약 4.3%로 떨어졌으며, 이는 관세가 미국 경제를 약화시킬 것이라는 믿음이 커지고 있음을 반영한다. 이에 따라 트레이더들은 금리 인하 가능성을 높게 보고 있다.
동시에, 트럼프 행정부는 중국에 대한 반도체 규제를 강화할 것으로 알려졌다. 트럼프는 최대 교역 상대국인 중국과의 투자를 제한하라는 지시를 내린 바 있다. AI 반도체 업체인 엔비디아(NVDA)의 주가는 수요일 발표될 실적 발표를 앞두고 주목받고 있다. 이미 관세와 수출 규제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이다.
소비자 신뢰지수 급락, 인플레이션 기대치 상승
화요일 오전 발표된 새로운 데이터에 따르면, 2월 소비자 신뢰지수가 크게 하락하며 미국 경제의 미래 상태에 대한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컨퍼런스 보드(Conference Board)의 2월 소비자 신뢰지수는 98.3으로, 1월 수정치 105에서 크게 떨어졌으며, 경제학자들이 예상한 102.5에도 미치지 못했다.
소비자신뢰지수는 소비자들이 현재와 미래의 경제 상황에 대해 어떻게 느끼는지를 측정하는 지표로, 경제 활동의 중요한 선행 지표로 활용된다. 이번 지수의 하락은 향후 경제 전망에 대한 소비자들의 불안감을 반영하며, 이는 소비 지출 감소로 이어져 경제 전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컨퍼런스 보드의 글로벌 지표 수석 경제학자 스테파니 기샤르(Stephanie Guichard)는 “2월 소비자 신뢰지수는 2021년 8월 이후 가장 큰 월간 하락을 기록했다”며 “이는 지난 3개월 연속 하락세로, 2022년 이후 유지되어 온 범위의 최하위 수준이다”라고 설명했다.

현재 상황을 평가하는 “현재 상황 지수(Present Situation Index)”는 1월 139에서 2월 136.5로 하락했다. 또한, 소비자들의 단기 소득, 비즈니스, 노동 시장 전망을 추적하는 “기대 지수(Expectations Index)”도 1월 82에서 2월 72.9로 떨어졌다. 역사적으로 이 지수가 80 아래로 떨어지면 향후 1년 내 경기 침체가 예고되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번에는 2024년 6월 이후 처음으로 이 임계값 아래로 떨어졌다.
한편, 12개월 평균 인플레이션 기대치는 지난달 5.2%에서 2월 6%로 급등했다. 기샤르는 “이번 상승은 끈덕진 인플레이션뿐만 아니라 계란 등 주요 가정용품 가격의 최근 급등과 관세의 예상 영향 등 다양한 요인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며 “무역과 관세에 대한 언급이 2019년 이후 처음으로 급증했으며, 특히 현 정부와 그 정책에 대한 논평이 응답을 지배했다”고 말했다.
한편 홈디포(HD)는 4분기 매출이 월스트리트의 낮은 기대치를 상회했다. 엔비디아(NVDA)는 수요일 실적 발표를 앞두고 주목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