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상호관세 실생활에 미치는 영향

관세는 수입업체가 직접 부담하지만, 기업은 대부분 이 비용을 소비자에게 전가한다. Photo by Jay Byun
Philly Talks

관세는 수입품에 부과되는 세금으로, 주로 국내 산업과 일자리를 외국 경쟁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도입된다. 기본적인 논리는 외국 제품의 가격이 올라가면 소비자들이 국내 제품을 더 많이 구매하게 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미국 정부가 일본산 자동차에 10%의 관세를 새로 부과한다고 가정해 보자. 이 경우 5만 달러짜리 일본차 가격은 5만5천 달러로 상승한다. 이에 따라 이론적으로는 가격 경쟁력에서 밀렸던 미국산 차량이 소비자들에게 더 매력적으로 보일 수 있다.

트럼프 대통령의 2기 행정부가 출범한 지 수개월 된 지금, 이러한 논리가 미국 무역 정책의 중심에 있다. 4월 2일, 트럼프 대통령은 전 세계 국가들에 대해 10%의 범용 관세를 발표했으며, 수십 개 교역 상대국에는 최대 50%에 이르는 상호관세를 부과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중국과 함께 미국의 주요 교역 파트너인 캐나다와 멕시코는 이번 조치에서 제외됐지만, 올해 초 발표된 25% 관세가 일부 품목을 제외하고 계속 적용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 관세 조치가 미국 생산자와 제조업자에 유리하게 무역 균형을 재조정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결과와 상관없이, 이번 조치는 수십 년간 이어져 온 자유무역 정책을 종식시키는 지각변동으로 평가된다.

트럼프 대통령이 2일 발표한 각국의 상호관세표. 출처:야후 파이낸스

관세의 목적과 적용 방식

대부분의 국가는 다양한 이유로 관세를 부과한다. 주요 목적은 다음과 같다.

  1. 재정 수입 확보
    관세는 다른 세금과 마찬가지로 정부의 수입원이 된다. 실제로 미국은 20세기 초 연방 소득세가 도입되기 전까지 관세가 주요 재원이었다. 현재는 미국과 EU 등 선진국에서 관세 수입이 차지하는 비중이 미미하지만, 지부티, 감비아, 벨리즈 등 저소득 국가들은 평균 관세율이 17%를 넘어 재정 의존도가 높다.
  2. 국내 산업 및 일자리 보호
    선진국에서는 관세가 보호무역주의 정책의 일환으로 사용된다. 1929년 주식시장 붕괴 이후 미국이 스무트-홀리 관세법을 통해 농업 보호를 명분으로 최대 60%의 관세를 부과한 것이 대표적이다.
  3. 국가 안보
    군수물자 등 안보 관련 품목의 해외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 관세가 활용되기도 한다. 트럼프 전 대통령이 철강과 알루미늄 관세를 인상할 때도 이 같은 논리를 내세웠다.
  4. 다국적 무역 관행 영향력 행사
    세계무역기구(WTO)는 인권 문제나 불공정 무역 관행(예: 덤핑)에 대응해 관세 부과를 허용한다. 바이든 현 대통령도 중국산 전기차와 반도체 등 180억 달러 규모 제품에 대해 덤핑을 이유로 관세를 대폭 인상한 바 있다.
  5. 보복 조치
    한 국가가 관세를 부과하면 상대국이 보복 관세로 맞대응하는 경우가 많다. 2018년 미국의 중국산 제품 관세에 대해 중국이 미국산 농산물에 15~25% 관세를 부과한 것이 대표적이다.

관세가 소비자에게 미치는 영향

관세는 경제 정책 전문가들만의 주제로 보이지만, 실제로는 모든 소비자의 지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 누가 관세를 부담하는가?
    관세는 수입업체가 직접 부담하지만, 기업은 대부분 이 비용을 소비자에게 전가한다. 예를 들어, 미국이 중국산 노트북에 관세를 부과하면 아마존과 같은 수입업체가 세금을 내고, 결국 소비자가 더 비싼 가격으로 제품을 구매하게 된다.
  • 일자리 보호 효과는?
    관세가 특정 산업의 일자리를 지키는 경우도 있지만, 피터슨국제경제연구소에 따르면 2018~2019년 철강업 보호를 위해 소비자와 기업이 부담한 비용은 일자리 하나당 90만 달러에 달했다. 반면 농업 등 다른 분야에서는 오히려 일자리가 줄어드는 부작용이 발생하기도 한다.
  • 인플레이션과의 관계
    관세는 물가 상승을 유발할 수 있지만, 전체 인플레이션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다. COVID-19 팬데믹 기간에도 트럼프 시대 관세 철폐가 물가 상승률의 7.2%만 상쇄할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됐다.

트럼프 2기 정부의 관세 정책 전망

트럼프 대통령은 선거 공약으로 “아웃소싱 중단과 미국 제조업 부활”을 주장하며 중국산 제품에 60%, 기타 교역 상대국에 10% 관세 인상을 제안했다. 취임 후 캐나다·멕시코에 25%, 중국에 10% 관세를 발표했으나, 국경 안보 협상을 이유로 일시 유예하기도 했다.

4월 발표된 상호관세는 미국 제품에 부과되는 외국 관세를 상쇄하기 위한 조치다. 중국 제품은 기존 20%에 34%가 추가되어 총 54%의 관세율이 적용될 예정이다.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