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월 의장 “고용의 하방 위험 커져”, 연준 추가 금리 인하·대차대조표 축소 중단 시사

Philly Talks

— 인플레이션 지표는 10월 24일 발표 예정, 셧다운 속에서도 법적 의무로 진행 —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이 “고용의 하방 위험(downside risks to employment)이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며, 향후 연준의 추가 금리 인하 가능성을 시사했다.

파월 의장은 14일(현지시간) 필라델피아에서 열린 전미경제학회(National Association for Business Economics) 연설에서 “9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이후 고용과 인플레이션 전망은 크게 변하지 않았지만, 고용 측면의 위험이 높아졌다”고 밝혔다.

그의 발언은 오는 10월 28~29일 예정된 다음 FOMC 회의에서 연준이 또 한 차례 금리 인하를 단행할 가능성을 암시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다만 파월 의장은 “정책은 회의별(meeting-by-meeting)로 결정될 것”이라고 선을 그었다.

연준 위원 19명으로 구성된 FOMC는 올해 안에 두 차례의 추가 금리 인하를 예상하고 있지만, 파월 의장은 “인플레이션을 낮추면서 고용을 유지하는 과정에는 ‘위험이 없는 길(no risk-free path)’은 없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러한 전망은 다양한 가능성의 범위를 보여주는 것이며, 새 정보가 들어올 때마다 그 확률이 바뀔 수 있다”고 설명했다.

정부 셧다운 속 고용 데이터 공백 우려

현재 미 정부 셧다운으로 인해 고용보고서 등 주요 경제지표 발표가 지연되고 있지만, 파월 의장은 “연준이 확보한 자료를 바탕으로 볼 때 고용의 하방 위험이 커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정책위원들의 리스크 균형 인식이 바뀌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9월 공식 고용 데이터는 지연되고 있지만, 민간 자료를 보면 해고와 신규 채용이 모두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며, 가계의 ‘일자리 구하기 용이성’ 인식과 기업의 ‘채용 난이도’ 인식 모두 완만히 하락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파월 의장은 또한 연준이 민간 부문의 데이터를 보조지표로 활용하고 있다고 설명하며, 특히 주 단위의 실업보험 청구 건수와 급여관리회사 ADP의 고용 데이터를 참고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공식 정부 데이터가 다시 제공되면 상황 파악이 훨씬 쉬워질 것”이라며, “9월 고용보고서는 매우 중요한 보고서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다만 정부 셧다운이 장기화될 경우, 10월의 공식 데이터 또한 집계되지 않아 연준의 정책 판단이 한층 어려워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인플레이션, 관세 영향이 주원인

인플레이션과 관련해서는, 파월 의장은 “민간 부문 자료와 설문조사에 따르면 최근 상품 가격 상승은 광범위한 인플레이션 압력보다는 주로 관세의 영향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CPI는 예정대로 10월 24일 발표예정, 연준 정책 판단 자료 확보 가능

정부 셧다운으로 주요 경제지표의 공개가 지연되는 가운데, 미 노동통계국(BLS)은 법적 의무에 따라 10월 24일 소비자물가지수(CPI)를 발표할 예정이다.

이는 본래 예정일인 10월 15일보다 약 열흘 늦춰졌지만, 사회보장연금(COLA) 인상률 산정을 위해 11월 1일 이전 발표가 법으로 요구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연준은 10월 28~29일 FOMC 회의 전까지 인플레이션 데이터를 확보하게 되어, 통화정책 결정에 중요한 참고 자료를 얻을 수 있을 전망이다.

대차대조표 축소, “몇 달 내 중단 가능성”

파월 의장은 또한 “연준이 향후 몇 달 안에 대차대조표 축소(balance sheet runoff)를 중단할 수 있는 지점에 도달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대차대조표 축소란 연준이 보유한 채권을 만기 도래 시 재매입하지 않고 자연스럽게 포트폴리오에서 제외시키는 방식으로, 시중 유동성을 점진적으로 줄이는 과정이다.

연준의 기존 계획에 따르면, 은행 예치금(reserves)이 ‘충분(ample)’하다고 판단되는 수준보다 약간 높은 상태에서 축소를 중단하는 것이 목표다.

파월 의장은 최근 “유동성 상황이 점차 긴축되고 있는 조짐이 보인다”며 “2019년 9월 자금시장(money market)에서 나타났던 유동성 경색 사태를 반복하지 않도록 주의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팬데믹 초기 자산매입, 당시에는 불가피한 선택”

그는 또 팬데믹 직후 자산매입을 조기에 종료하지 않았던 점에 대해 “지금 돌아보면 더 일찍 멈출 수도 있었고, 어쩌면 그랬어야 했다”고 인정하면서도, “당시 연준의 실시간 결정(real-time decisions)은 경기 하방 위험에 대한 보험(insurance) 역할을 하기 위한 것이었다”고 강조했다.

파월은 “그 시기 연준은 금융 여건이 과도하게 긴축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자산매입을 지속했다”며 “경제가 여전히 취약했던 시점이었다”고 말했다.

다만 그는 “연준은 팬데믹 이전 수준으로 대차대조표를 되돌리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자산매입이 아니라, 연준 부채(예치금)에 대한 공공의 수요(public demand)가 대차대조표 규모를 결정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현재 연준의 포트폴리오는 장기채 비중이 높고 단기채 비중이 낮은 상태이며, 이 구성 비율에 대한 조정이 향후 FOMC 논의 주제가 될 전망이다.

“연준이 은행 예치금에 지급하는 이자는 납세자 부담 아니다”

파월 의장은 최근 일부 정치권에서 제기된 “연준이 은행 예치금에 지급하는 이자가 납세자에게 부담을 준다”는 주장에 대해서도 반박했다.

그는 “사실이 아니다(Not the case)”라며, “연준은 보유 중인 미 재무부 채권으로부터 이자 수익을 얻고 있으며, 이 수익이 예치금 이자 지급액을 상쇄하고도 남는다”고 설명했다.

최근 상원은 랜드 폴(Rand Paul·공화·켄터키) 상원의원이 제안한 ‘연준의 예치금 이자 지급 금지 수정안’을 부결시켰다.

연준은 법에 따라 모든 이익을 지출 후 재무부(Treasury)에 송금(remit)해야 하며, 2008년 이후 지금까지 총 9,000억 달러 이상을 재무부에 납부한 것으로 알려졌다.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